-
Notifications
You must be signed in to change notification settings - Fork 5
Home
Important
더 자세한 내용은 NOTION에서 확인이 가능해요! 보러 가시겠어요? 팀 노션 보러가기
Note
RSS 링크만으로 간편하게 블로그를 등록할 수 있어요. 등록된 블로그의 새로운 글이 30분 간격으로 자동 업데이트되어 데나무에 노출되어요.
🗝️: Crawling
, RSS
, Cron
RSS Crawler
- 클라이언트로부터
블로그 등록
기능을 통해 블로그 신청 받기 - 관리자 권한으로 신청된 블로그 승인/거절을 통해 결과 HTML 이메일 발송
- 승인 시, 서비스 DB에 RSS URL 저장
- PM2의 CRON 기능을 이용하여 30분 마다 서비스 DB에 저장되어 있는 RSS URL에서 XML 획득
- XML 파싱을 한 후 30분 이내의 게시글만 필터링 할 수 있도록 시간 연산을 통해 필터링
- 게시글 작성 시간 순으로 정렬 후 서비스 DB에 게시글 정보들 저장
- 최신으로 가져온 피드들은 Redis에 저장하여 Polling으로 데이터를 가져갈 때, 더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최적화
Note
모든 컨텐츠를 휠 스크롤 하나로 제공받을 수 있어요. 시간 상관 없이 데나무 서비스에 등록되었던 오래된 게시글 또한 확인할 수 있어요.
🗝️: React Query Caching
, Pagination
, lazy Loading
FE
- React Query Caching을 통해 컴포넌트 로딩 시간 단축
- Image Lazy Loading을 도입하여 웹 사이트의 로딩 시간 단축
- 무한 스크롤 도입
BE
<원본>
- 페이지 네이션에서 중간에 사라지는 데이터로 인해 제공이 안 되는 데이터가 있을 수 있기에 OFFSET를 사용하는 것 보다는 lastId를 이용하여 제공한 게시글의 마지막 게시글로부터 LIMIT를 걸어 사용자에게 유실된 데이터 없이 모든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
</원본>
<수정본> - lastId를 이용해서 제공한 마지막 게시글로부터 LIMIT을 설정했습니다.
- OFFSET 기반의 페이지네이션을 사용했을 때, 중복되거나 사라지는 데이터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위와 같은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수정본>
- OFFSET 기반의 페이지네이션을 사용했을 때, 중복되거나 사라지는 데이터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위와 같은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Note
새로고침 없이도 Polling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30분 간격으로 새로운 피드가 탐지될 경우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해줘요.
🗝️: 자체 조회수
, Polling
FE
[최신 피드 제공]
Polling vs Server Sent Event
- 선택 결과: Polling
<원본> - 최신 피드는 서버에서 30분에 한 번씩만 업데이트 되기 때문에 Server Sent Event를 적용하기에는 접속 유지를 30분 동안 하고 있어야 하기에 낭비라고 판단했다. 오히려 30분의 긴 시간이라면 Polling이 더 효율적이라 판단했다.
</원본>
<수정본> - 최신 피드는 서버에서 30분에 한 번씩만 업데이트된다.
30분의 긴 간격 발생할 때는 Polling이 SSE보다 효율적이라 생각했다.
Server Sent Event는 30분 동안 클라이언트와 연결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수정본>
BE
[자체 조회수]
- 조회수 기반으로 트렌드를 제공하는데, 사용자 판별을 하지 않는다면 부정한 방법으로 조회수 획득 가능
- 비회원 사용자를 100% 가려내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판단
<원본> - 쿠키, 로컬 스토리지로 저장하기에는 사용자가 브라우저 단에서 컨트롤하면 결국 새로운 사용자로 인식
</원본>
<수정본> - 쿠키, 로컬 스토리지에 데이터를 저장하면 사용자가 브라우저에서 컨트롤할 수 있다.
</수정본>
<원본>
- Browser Finger Print를 사용하면 사용자끼리 브라우저 설정이 같은 사람이 있을 수도 있고, 설정 값 하나만 바꿔도 새로운 사용자로 인식 </원본>
<수정본>
-
Browser Finger Print를 사용하면 브라우저 설정이 같은 사람이 있을 수도 있다. 혹은 설정 값 하나만 바꿔도 새로운 사용자로 인식한다. </수정본>
-
공인 IP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파악하기로 판단
<원본> -
쿠키에는 사용자가 읽은 게시글의 ID를 저장하게 하고, 만약 조회수를 증가하는 API로 요청이 왔을 때, 쿠키에 조회하고자 하는 게시글 ID가 존재한다면 DB에 접근하지 않기에 DB 접근 최적화로 속도 향상 </원본>
<수정본> -
쿠키에는 사용자가 읽은 게시글의 ID를 저장한다.
만약 조회수를 증가하는 API로 요청이 왔을 때, 쿠키가 있다면 DB에 접근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DB 접근에 대한 최적화를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 </수정본>
Note
30초마다 업데이트되는 트렌딩 포스트를 통해 인기 있는 글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요. IP와 쿠키를 활용한 중복 조회 방지 시스템으로 통계를 제공하고, 매일 자정에 트렌드가 초기화되어요.
🗝️: 자체 조회수
, SSE
, 비회원 식별
, Cron
Server Sent Event vs Polling
- 선택 결과: Server Sent Event
<원본> - 트렌드라는 건 시간에 민감하기에 자주 변경이 되어야 한다. Polling 보다는 Server Sent Event가 데이터 통신상 HTTP 연결, 연결 해제를 매번 안 해도 되기에 훨씬 효율적이라 판단
</원본>
<수정본> - Polling 보다는 Server Sent Event가 데이터 통신상 훨씬 효율적이라 판단했다.트렌드는 시간에 민감하기에 자주 변경되어야 한다.
자주 변경되는 만큼 SSE가 Polling보다 적은 횟수의 연결, 연결 해제를 시도하기 때문에 최적화가 된다고 생각했다.
</수정본>
<원본>
- 양방향 통신을 하지 않아도 된다. Polling 같은 경우 Body나 Query에 데이터를 포함하여 클라이언트 → 서버, 서버 → 클라이언트로 요청, 응답을 매번 반복하는 형식이다. 하지만, 트렌드는 단순히 서버 → 클라이언트로 응답만 해주면 된다. 그렇기에 Server Sent Event 처럼 서버 → 클라이언트 방식이 더 적합한 방식이라 판단
</원본>
<수정본> - 양방향 통신을 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도 고려했다. Polling의 경우 Body나 Query에 데이터를 포함하여, 클라이언트 → 서버, 서버 → 클라이언트로 요청과 응답을 매번 반복하는 형식이다.
하지만 트렌드는 단순히 서버 → 클라이언트로 응답만 해주면 된다. 그렇기에 Server Sent Event가 더 적합한 방식이라 판단했다. </수정본>
<원본>
- 랭킹이 변동되었을 때만 데이터를 전송하면 되기에 데이터 통신에서도 더 효율적이다. Polling 같은 경우 주기적인 요청에 강제적으로 응답을 해줘야 한다.
이에 반해 SSE는 서버 내에서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보낼 수 있다. 필요없는 시간 대에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아도 되기에 통신상 더 최적화된 방식이라 판단
</원본>
<수정본> - 랭킹이 변동되었을 때만 데이터를 전송하기에 데이터 통신에서도 더 효율적이다. Polling의 경우 주기적인 요청에 강제적으로 응답을 해야 한다. 이에 반해 SSE는 서버 내에서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보낼 수 있다. 의미없는 응답을 강제로 전송하지 않아서 통신상 더 최적화된 방식이라 판단 </수정본>
Note
원하는 키워드로 기술 블로그 글을 쉽게 찾아볼 수 있어요. 연관성이 높은 게시글이 상단에 노출되는 유사도 기반 검색을 지원하고, 무한 스크롤로 끊김 없이 글을 탐색할 수 있어요.
🗝️: MySQL Full Text Index
, Pagination
, debounce
FE
<원본>
- debounce 를 통해 매번 입력에 대한 검색 API를 호출하는 것이 아닌, API 호출 최적화
</원본> <수정본> - debounce 를 통해 입력에 대한 검색 API 호출 최적화
</수정본> - 페이지네이션과 검색 결과의 키워드 강조를 통해 사용자에게 판단하기 쉬운 검색 결과 제공
BE
- MySQL의 Full Text Index를 사용하여 검색 기능 구현
- 검색 토큰 개수를 설정하여 검색 연관도 증가
- 페이지 네이션을 이용하여 검색 결과 반환
Note
실시간 채팅을 통해 다른 개발자들과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어요. 관심 있는 기술에 대해 바로 피드백을 주고받으며 함께 성장할 수 있어요.
🗝️: Web Socket
FE
- WebSocket을 이용한 실시간 통신
- avvvatars-react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사용자 랜덤 프로필 제작
BE
- @woowa-babble/random-nickname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사용자 랜덤 닉네임 제작
- IP에 따라 사용자 닉네임을 24시간동안 저장
- 24시간 후 다른 닉네임을 제공받도록 구현
- 채팅 히스토리 20개 Redis에 저장하여 채팅 히스토리 접근 속도 개선
Note
일별, 전체 조회수 통계를 통해 인기 있는 콘텐츠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어요. 블로그 플랫폼별 통계를 통해 어느 개발 플랫폼이 활발한지 확인할 수 있어요.
🗝️: Graph
, Statistic API
FE
- Polling을 통한
- 일일, 전체 조회수 통계, 블로그 플랫폼별 회원 통계를 그래프로 출력
Note
서버 예외를 최대한 막으려고 테스트 코드를 꼼꼼히 짰어요. 이를 통해 사용자 경험과 생산성을 증진시킬 수 있었어요.
🗝️: Test
, Exception
FE
- React Testing Library, Vitest 테스트 구축
- 컴포넌트 테스트로 하위 컴포넌트들에 대한 단위 테스트 작성
- Lazy Image, Avatar 같은 공통 UI 컴포넌트, custom hook들은 Mock 객체 처리
- lucide-react 외부 라이브러리 Mocking 처리
- 테스트 유틸리티 헬퍼 함수 구현
BE
-
toStrictEqual vs 필요 속성만 검증의 테스트 범위 결정
- toStrictEqual 사용의
장점
- 응답 객체에 개발자가 예상하지 못 한 속성이 들어갈 수 있다. 이 케이스도 테스트를 통해 발견할 수 있다.
- toStrictEqual 사용의
단점
- 객체의 순서를 맞춰야하는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 필요 속성 테스트만의
장점
- 결과를 검증할 수 있는 최소 조건만을 검증할 수 있기에 유지보수 측면에서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
- 필요 속성 테스트만의
단점
- 응답 객체에 개발자가 의도하지 않은 속성이 들어갈 수 있다. 이는 민감 정보에 해당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는 E2E 테스트에는 부적합하다고 판단한다.
- 결론: 테스트는 간단 명료해야 하고, 테스트 코드 또한 유지 보수의 대상이다. 그렇기에, 필요 속성만 테스트를 하여
결과를 검증할 수 있는 최소 조건
으로 검증한다.
- toStrictEqual 사용의
-
앱을 최초로 1회 초기화하는 방식을 통해 테스트 코드 최적화
-
Nest class-validator의 값 검증을 이용하여 API 안정성 향상
-
Jest 핵심 비즈니스 로직은 E2E 테스트, 입력 값 검증은 DTO 테스트로 분리하여 유지보수 쉬운 테스트 코드를 지향
-
테스트 픽스처를 활용하여 유연한 데이터 변경에 대응
Backend | Backend | Frontend | Backend | Frontend |
---|---|---|---|---|
J103 박무성 | J152 안성윤 | J222 정명기 | J235 조민석 | J249 채준혁 |
당일 팀 활동 요약 담당 | 팀장 오프라인 미팅 장소 담당 |
노션 & Github Wiki 동기화 담당 | 멘토링 활동 담당 Github Project 칸반 보드 담당 |
노션 정리 담당 |
URL: https://denamu.site/
TEAM E-MAIL: boostcamp9web05@gmail.com
NOTION: team notion
FIGMA: team figma
- 🏃♂️ k8s pod 사용해보기
- 🏃♂️ Promise 동작 이해하기
- 🏃♂️ SMTP를 가볍게 알아보자
- 🏃♂️ postman test는 어떻게 하는 걸까?
- 🏃♂️ 쿠키와 보안 가볍게 이해하기
- 🏃♂️ Nest.js 이해하기
- 🏃♂️ Nest 환경에서 로깅 시스템을 구축해보자
- 🏃♂️ CI/CD 흐름 이해하기
- 🏃♂️ 인프라 흐름 이해하기
- ☄️ Single 스레드 VS Multi 스레드
- ☄️ MySQL 풀텍스트 인덱스로 검색 구현하기
- ☄️ NGINX를 사용해 프록시 서버 구축하기
- ☄️ VPC 및 Subnet을 활용한 클라우드 서버 구축
- ☄️ PM2를 사용해 여러개의 서비스를 한번에 실행하기
- 🐟 react-testing-library 기본 사용법
- 🐟 framer-motion 기본 사용법
- 🐟 SEO에 대해서 알아보자
- 🐟 여러가지 디자인 라이브러리 및 shadcn
- 🐟 웹 접근성이란?
- 🍎 Message Queue
- 🍎 Polling vs Server Sent Event vs WebSocket, QUIC
- 🍎 HTTPS
- 🍎 Redis
- 🍎 NodeJS ORM 차이점
- 🍎 외부에서 내부 DB 접속법
- 🍎 환경변수 모듈들
- 🌱 Motion과 CSS Grid의 레이아웃 차이 분석 및 PostCard 컴포넌트의 높이 불일치 해결하기
- 🌱 브라우저 팝업 차단으로 인한 문제와 해결책
- 🌱 타입을 활용해 API로 전달되는 날짜 안전하게 포맷팅하기
- 🌱 연속 실행이 필요한 비동기 작업에서의 고민
- 🌱 Server-Sent Events를 이용해 실시간으로 트렌드 게시글 표시하기
- 🌱 Fetch 기반 mock API를 axios-mock-adapter로 마이그레이션 하기
- 🌱 useInfiniteScroll hooks로 구현하는 무한 스크롤
- 🌱 이미지 lazy loading
- 🌱 clsx와 tailwind-merge로 구현하는 className 유틸리티 함수
- 🌱 우리 팀의 환경에서 적합한 패키지 매니저는 무엇일까?
- 🌱 프론트엔드 테스트 도입기
- 🌱 React Query로 상태 관리와 성능 최적화하기 1: React Query 소개
- 🌱 React Query로 상태 관리와 성능 최적화하기 2: useQuery
- 🌱 React Query로 상태 관리와 성능 최적화하기 3: useInfiniteQuery
- 🌱 React Query로 상태 관리와 성능 최적화하기 5: useQuery, useMutation 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