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technical-learn-room/spring-log4j2-learn

Folders and files

NameName
Last commit message
Last commit date

Latest commit

 

History

26 Commits
 
 
 
 
 
 
 
 
 
 
 
 
 
 
 
 
 
 
 
 

Repository files navigation

스프링에서 Log4j2로 로그를 잘 찍어보자

Log4j2 Logo


Log4j2가 뭐야?

Log4j2는 유명한 로깅 라이브러리로 스프링에서는 자체적으로 Logback이라는 로깅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Log4j2Logback에 비해 어느 상황에서나 더 빠른 속도를 가지고 있으며
자바의 람다식을 활용할 수 있는 메소드도 정의되어 있습니다.


로그의 수준

로그를 찍기 전에 로그의 수준에 대해서는 확실히 알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로그의 수준은 TRACE, DEBUG, INFO, WARN, ERROR, FATAL이 존재하며
수준은 TRACE가 가장 낮은 수준의 로그로, 가장 위험도가 낮은 평범한 로그입니다.
따라서 로그의 수준이 INFO라면 INFO 수준을 포함하여 그보다 위험한 로그들만 찍히게 됩니다.

이외에도 모든 로그를 찍겠다는 ALL 수준과 모든 로그를 찍지 않겠다는 OFF 수준이 있으나,
이는 개념상으로 있는 것이고 ALL은 가장 낮은 로그 수준인 TRACE와 같고
OFF는 로그를 사용하지 않는 것과 같습니다.


Log4j2를 사용해보자

의존성 추가

dependencies {
    implementation("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log4j2")
}

로그 설정 파일 추가

로그 설정 파일은 기존 스프링 기본 설정 파일인 application.yml 또는 application.properties에서도 설정할 수 있고,
XML 파일을 이용해서 설정을 구성할 수도 있습니다.
대신 XML 파일을 따로 둘 경우 XML 파일의 classpath를 지정해주어야 합니다.

logging:
  config: classpath:log4j2.xml

스프링 Logback 제거하기

스프링에서는 기본적으로 Logback을 이용해서 로깅을 하기 때문에
다른 로깅 라이브러리인 Log4j2를 그냥 도입하게 되면 로깅 라이브러리끼리 충돌이 발생하기 때문에
Log4j2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Logback 라이브러리를 제거해야합니다.

configurations {
    all {
        exclude group: 'org.springframework.boot', module: 'spring-boot-starter-logging'
    }
}

log4j2.xml을 구성해보자

<?xml version="1.0" encoding="UTF-8"?>
<Configuration status="DEBUG">
    <Properties>
        <Property name="logPath">./logs</Property>
        <Property name="logPattern">[%-5level] %d{yyyy-MM-dd HH:mm:ss} [%t] %c{1} - %msg%n</Property>
        <Property name="serviceName">application</Property>
    </Properties>
    <Appenders>
        <Console name="console">
            <PatternLayout pattern="${logPattern}"/>
        </Console>
        <RollingFile
                name="file"
                append="true"
                fileName="${logPath}/${serviceName}.log"
                filePattern="${logPath}/${serviceName}.%d{yyyy-MM-dd}.%i.log.gz">
            <PatternLayout pattern="${logPattern}"/>
            <Policies>
                <SizeBasedTriggeringPolicy size="5MB"/>
                <TimeBasedTriggeringPolicy/>
            </Policies>
        </RollingFile>
        <DefaultRolloverStrategy>
            <Delete basePath="${logPath}" maxDepth="1">
                <IfFileName glob="${serviceName}.*.log"/>
                <IfLastModified age="15d"/>
            </Delete>
        </DefaultRolloverStrategy>
    </Appenders>
    <Loggers>
        <Logger name="com.springframework" level="info" additivity="false">
            <AppenderRef ref="console"/>
            <AppenderRef ref="file"/>
        </Logger>
        <Logger name="com.j" level="info" additivity="false">
            <AppenderRef ref="console"/>
            <AppenderRef ref="file"/>
        </Logger>
    </Loggers>
</Configuration>

log4j2.xml 파일에서는 다음과 같은 로그 설정을 구성하고 있습니다.

  • ./logs/application.log 파일을 만들어 로그를 저장합니다.
  • application.log 파일이 5MB가 되면 application.log 파일에 있는 로그를
    ./logs/application.년도-월-일.파일숫자.log 파일로 옮기고 .gz 파일로 압축합니다.
  • com.springframework으로 시작하는 패키지에 존재하는 클래스들에서 작성된 로그는 info 수준 이상의 로그만 가져옵니다.
  • 마찬가지로 com.j로 시작하는 패키지에 존재하는 클래스들에서 작성된 로그도 info 수준 이상의 로그만 가져옵니다.
  • 15일이 지난 로그 파일은 자동으로 삭제합니다.

log4j2.xml 설정을 파헤쳐보자

  1. Configuration::status

    정확한 정보는 이 글을 참조해주세요!

  2. Properties.Property Properties.Property는 설정 파일 안에서 사용할 변수를 정의하는 태그입니다.
    Gradle 파일에서 버전을 한 곳에서 관리하는 것과 같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위 설정파일에서는 로그를 저장할 디렉토리 (logPath), 작성될 로그의 패턴 (logPattern),
    서비스 이름 (로그 파일의 이름으로 사용함, serviceName)을 프로퍼티로 저장하였습니다.

    이렇게 저장한 프로퍼티를 사용할 때는 ${property-name} 형태로 사용하면 됩니다.

  3. Appenders.Console 여기서는 콘솔에 찍히는 로그에 대해 정의하는 곳입니다.
    나중에 이 콘솔에 로그를 남길 로거를 결정하는데 필요한 name 속성을 지정하고,
    콘솔에 찍힐 로그의 패턴을 정의합니다.

  4. Appenders.RollingFile 여기서는 파일에 저장되는 로그에 대해 정의하는 곳입니다.
    콘솔과 마찬가지로 로그를 남길 로거를 결정하는데 필요한 name 속성의 지정하고,
    append 속성을 활성화함으로서 로그를 파일에 쓸 때 계속 파일의 첫 부분에 덮어쓰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fileName 속성은 생성되는 로그를 저장할 로그 파일의 이름입니다.
    filePattern 속성은 fileName에 지정한 로그 파일이 어떠한 이유로 분리될 경우 생성할 로그 파일의 패턴입니다.

    append 속성에 대한 문제는 이 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5. Appenders.RollingFile.PatternLayout 로그 파일에 저장될 로그의 형식을 정의합니다.

  6. Appenders.RollingFile.Policies 이곳이 Rolling File의 핵심적인 규칙을 정의하는 곳입니다.
    여기서는 여러 Policy(정책)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본문에서 정의한 정책은 두 가지입니다.

    6-1. SizeBasedTriggeringPolicy

     이 정책은 로그 파일의 크기에 따라 로그 파일을 나누는 기준을 정의합니다.  
     본문에서는 `size` 속성을 `5MB`로 정의하면서 로그 파일이 5MB가 되면 이를 따로 떼어내어  
     새로운 로그 파일로 만들게 됩니다.  
    

    6-2. TimeBasedTriggeringPolicy

     이 정책은 로그 파일이 시간에 따라 로그 파일을 나누는 기준을 정의합니다.  
     위의 `filePattern`에는 `${logPath}/${serviceName}.%d{yyyy-MM-dd}.%i.log.gz`이라고 정의되어 있는데  
     파일 이름에 날짜를 지정하여 날짜별로 로그 파일이 생기게 만들었습니다.  
     이로인해 로그 파일의 크기가 `5MB`가 되지 않더라도 하루가 지나게 되면 새로운 로그 파일이 생성됩니다.  
     그리고 `%i`는 하루 안에 로그 파일이 `5MB`가 넘어버리면 똑같은 이름의 로그 파일이 두 개 생길 수도 있으므로  
     파일 카운팅을 하여 1부터 순차대로 올라가는 변수를 삽입해줍니다.  
     이는 매일마다 초기화됩니다.  
    

    6-3. DefaultRolloverStrategy.Delete

    이 전략은 파일이 너무 많아서 메모리를 너무 많이 차지할 때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전략입니다.  
    여기서 여러 기준을 통해 로그 파일을 삭제하도록 만들 수 있으며,  
    위에서는 `IfFileName` 태그를 통해 원하는 삭제 대상이 되는 로그 파일의 패턴을 정할 수 있고,  
    `IfLastModified` 태그를 통해 얼마나 오랫동안 수정되지 않은 로그 파일을 삭제할 것인지를 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Delete` 태그의 `maxDepth`를 통해 `basePath`로부터 어느 깊이에 있는 로그 파일을 삭제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maxDepth`가 1인데 이는 `./logs` 디렉토리 바로 밑에 있는 로그 파일만을 삭제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로그 파일의 크기에 대한 정책은 로그가 일정 크기까지 쌓이지 않으면 메인 로그 파일에만 계속 쌓이게 되며
    시간에 대한 정책은 가장 작은 단위가 끝났을 때 로그 파일이 쌓이게 됩니다.
    예를 들면 yyyy-MM-dd-HH.log 라는 filePattern을 지정해두었다면
    2021-07-29-16.log 파일은 오후 5시가 되었을 때 생성된다는 뜻입니다.
    물론 로그 파일의 크기가 일정량을 넘어가면 강제로 생성되기도 합니다.
    이렇게 어떠한 정책에 의해 로그 파일을 계속해서 나누어 관리하는 기법을 Rolling File 기법이라고 합니다.

  7. Loggers.Logger name 속성을 통해 어떤 패키지에서 나오는 로그를 처리할 건지 설정할 수 있고,
    level 속성을 통해 어떤 로그 수준부터 로깅할 것인지를 설정할 수 있으며,
    additivity 속성을 비활성화하여 다른 로거와 로깅하는 일을 겹치지 않게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level 속성은 아래의 Loggers.Logger.AppenderRef::level에 대신 정의하여
    콘솔과 파일에 하는 로깅 수준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습니다.

About

스프링에서 로그를 야무지게 찍어보자.

Topics

Resources

License

Stars

Watchers

Forks

Languages